본문 바로가기
필사

[필사] 무결점을 꿈꾸는 사람들 / 김진관

by 정보까마귀 2022. 3. 31.
반응형

알라딘에서 삭제된 김진관의 심리칼럼을 옮겨적습니다.


아동기의 불행한 경험을 바탕으로 시작된 심리적인 덫(lifetrap 또는 심리도식)은 마음 속 깊은 곳에 자리를 잡고 인생 전반에 걸쳐 그 사람의 생각, 감정, 행동, 태도를 좌지우지합니다. 그런데 같은 뿌리에서 서로 다른 모양의 나무가 자라납니다. 즉, 심리적 덫이 유발하는 괴로움에 대처하는 방식은 사람마다 다릅니다. 한 가정에서 자란 아이들이 저마다 다른 특징을 보이게 되는 것도 같은 맥락입니다. 예를 들어 정서적인 학대를 받으면서 자란 어떤 아이는 부당한 학대에 대해 겁 먹은 모습 그대로 성장하고 어른이 된 후에도 자기 주장을 못하는 소극성과 침묵으로 일관하기도 합니다. 또 다른 아이는 매우 거칠고 반항적으로 자라면서 집을 일찍 떠나기도 합니다. 이렇게 다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한 가지 이유는 사람마다 타고난 기질과 재능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쉽게 겁을 먹거나 수줍은 아이가 있듯, 활달하거나 대범한 기질을 타도난 아이들이 있습니다. 어떤 아이에게는 공부나 운동 등의 능력 개발이 수월하고 어떤 아이들에게는 사람들의 마음을 잘 읽고 헤아릴줄 압니다. 이들은 같은 상황에서 서로 다른 방식의 대처를 하기 마련입니다.

어린 시절의 학대나 결핍이 낳는 대표적인 심리 도식들 중의 하나가 ‘결함’이라는 덫입니다. 학대받는 아이들이 성장하면서 마음 속 깊은 곳에 ‘내게는 뭔가 결함이 있다. 그래서 나는 사랑스럽지 못한 부끄러운 존재다.’라는 느낌이 깊이 각인된 경우입니다. 지난 칼럼에서와 마찬가지로 제프리 영 박사의 책에서 사례를 인용하겠습니다. 알렉스, 브랜든, 그리고 맥스는 모두 ‘결함’이라는 심리 도식을 갖고 있습니다.

열아홉 살의 대학생 알렉스는 사람들의 눈을 똑바로 바라보지 못합니다. 언제나 머리를 숙이고, 잘 들리지 않을 정도의 조용한 톤으로 말을 합니다. 늘 위축되어 보이고 사람들에게 미안하다는 말을 아주 많이 합니다. 뭔가 일이 잘못된 경우에는 자기 잘못이 없는 경우에 조차 자기 자신을 책망합니다. 그는 남들이 자기보다 낫다는 느낌을 한번도 부정하지 않습니다. 어느 날 학교의 파티에 갔을 때 지나치게 주눅들고 긴장되어 말을 제대로 하지 못한 후, 다시는 파티에 가지 않게 되었습니다.

알렉스가 여자 친구를 처음으로 사귀었는데 그다지 행복하지 않습니다. 비판적인 여자 친구가 항상 알렉스의 결함을 탓하기 때문입니다. 기억해보면 알렉스의 유일한 절친도 역시 그에게 자주 비판적인 말을 하곤 했었습니다. 이런 경험들은 알렉스의 뿌리 깊은 느낌, ‘나는 남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없는 결함이 있는 존재다’를 더욱 사실인 것처럼 확인시키게 됩니다. 남들이 그에게 하는 것도 모자라, 알렉스는 스스로에게 더욱 비판적입니다. 남들이 자신을 비판하기 전에 스스로 비판을 하는 것이 더욱 편안하다고 느끼는 것입니다.

자신에 대한 이렇게 부정적인 느낌이 워낙 짙게 깔려 있다보니 알렉스는 마치 어딘가가 실제로 부족한 사람처럼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을 하게 되었고 그런 패턴에 너무 익숙해져 있습니다. 알렉스가 보여주는 이런 방식은 ‘결함’이라는 덫에 걸린 후 빠져 나오려는 시도를 포기해버린 경우입니다. 즉, 심리 도식에서 비롯된 아주 안좋은 느낌을 변할 수 없는 사실로 받아들이고 체념하는 것이 더 편안한 이런 방식의 대처를 ‘굴복(surrender)’라고 합니다.

사십대의 브랜든은 아직까지 사람을 가깝고 깊게 사귀어 본 경험이 없습니다. 그는 사람들과 술집에서 어울리며 수다를 떨기는 합니다만 어디까지나 간편한 관계에 머무를 뿐 개인적인 이야기는 일체 나누지 않습니다. 브랜든이 결혼을 하긴 했지만 아내는 오직 외모 가꾸기에만 열중하고 자기와는 감정을 교류하지 않습니다. 브랜든 보다는 자신의 친구들에게 더 마음을 집중합니다. 그런 여자를 선택한 것은 브랜든으로서도 그게 더 편했기 때문입니다. 브랜든이 알콜 중독에 빠져 치료를 받게 되었어도 자신은 다만 여흥을 위해 마실 뿐 중독이 아니라고 단언합니다. 그런데 그는 함께 술 마시는 누군가가 자신보다 낫다는 생각이 들 때마다 폭음을 했습니다.

브랜든은 심각한 우울 때문에 상담을 받게 되었으나 자신의 심리적 덫이 무엇인지 전혀 인식이 없습니다. 그는 인생 내내 자신의 덫을 무의식적으로 그러면서 철저하게 ‘회피’하려는 노력을 하며 살아왔기 때문입니다. 자신이 열등할 수도 있다는 식의 생각은 거의 해보지 않았습니다. 그런 느낌이 살짝이라도 고개를 들려는 때에는 어김없이 술을 마셔서 자신을 둔화시키거나 사람들과 만나서 실없는 농담을 했습니다. 자기 자신에 관한 불편한 느낌이 아예 생겨나지 못하게 하는 것입니다. 이런 식의 일관적이고 굳건한 회피는 ‘내가 혹시 열등한가, 또는 결함이 있는 것은 아닌가’라는 두려움으로부터 탈출하는 무의식적인 방식 중 하나입니다.

사람이 살면서 부정적인 감정이나 생각을 아예 차단할 수는 없는 노릇입니다. 때때로 겪게 되는 다소 괴로운 감정들은 오히려 자기 성찰의 시간으로 순화되면서 한 개인을 성장시키는 밑거름이 되는 것이기도 합니다. 브랜든은 자신에 관한 부정적인 생각을 탐구해보려는 시도에 대해 ‘기분을 다운시키는 그런 쓸 데 없는 짓을 왜 해야 하는가?’라는 태도를 갖고 있습니다. 이쯤 되면 브랜든이 일기를 쓰거나 자신의 고뇌를 누군가에게 털어놓고 나누는 일은 불가능해 보입니다. 누군가와 아주 친밀한 관계를 나누게 되면 브랜든의 회피 태도는 큰 결함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회피 방식은 자기 성찰의 기회를 앗아간다는 점에서 ‘결함’ 도식을 갖게 된 사람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더욱 큰 결함을 떠안게 되는 악순환을 초래합니다.

서른 둘의 증권거래인 맥스는 겉보기에 매우 당당하고 자신감이 넘칩니다. 언제나 우월감을 드러내는 데 주저함이 없는 그는 다른 사람들의 헛점을 아주 잘 지적합니다. 맥스의 아내는 희생적이고 소심하며 맥스에 대한 존경심을 감추지 않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그 때문에 두 사람의 톱니바퀴가 맞아 들어간 셈입니다. 맥스는 아내에게 말도 꽤 거칠고 다소 이기적으로 행동을 하곤 합니다. 그는 늘 자신의 우월함을 인정해주는 사람들을 가까이 두고 지냅니다.

맥스 역시 자신의 뿌리에 깊이 각인된 열등감을 알아채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는 어린 시절에 자신이 별 가치나 쓸모가 없는 존재라는 느낌을 부모로부터 받게 되었었고 어찌할 수 없이 서러웠습니다. 그런데 성장기를 거치면서 정반대로 ‘나 만큼 우월할 수는 없다’는 느낌 만을 부둥켜안고 살아가는 선택을 했습니다. 주목할 점은 이 역시 무의식적인 선택이라는 사실입니다. 방어기제라고도 설명할 수 있는 이런 메커니즘을 또렷하게 인식한다면 그리 행할 수 없는 노릇입니다. 즉, 맥스의 기억 속에 남아 있는 것은 ‘난 언제나 우월하려고 노력했고 성공적으로 우월해진 것이다’라는 의심없는 확신 뿐입니다. 맥스는 자신의 ‘결함’ 도식에 대해 정면으로 ‘과잉보상 또는 반격(counterattack)’하는 방식의 대처를 한 것입니다.

이런 식의 무의식적이면서 빈틈없는 반격은 언뜻 보기에는 건강한 방식이라 여겨집니다. 많은 장점들을 키워나가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이 사실이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사회에서 꽤 인정받는 사람들, 예를 들어 성공한 정치인, 사업가, 음악가, 예술인들 중에 맥스와 같은 심리 기제를 가진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들이 사회에서는 각광을 받게 되었다 해도 그들의 마음은 그리 밝거나 평안하지 않습니다. 이런 심리기제를 갖고 있다면, 청중들의 열띤 환호 속에서 자신의 존재감에 도취되었다가 무대 뒤로 퇴장한 후의 쓸쓸함을 견디기 힘들어지게 됩니다.

지나치게 과잉보상에 열중하다보면 나의 마음 그리고 나와 절친한 사람의 마음 살피기는 자연히 어두워지게 됩니다. 그 때문에 나의 가치를 가장 잘 알아주어야 할 사람들이 자꾸만 곁을 떠나가는 상황이 생기기도 합니다. 이런 삶의 위기들이 심리적 덫을 더욱 깊이 뿌리박히게 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사람이 성취나 능력 또는 품성 등에서 완벽하다는 것이 한 사람에게 꾸준한 사랑을 받는 조건이 될 수는 없지 않습니까. 오히려 빈틈이 많아도 그 빈틈을 나와 함께 진솔하게 나누고자 하는 사람을 사람들은 곁에 오래두고 싶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자신의 심리적 덫에 대해 굴복을 하건, 회피를 하건, 또는 반격을 하건 장기적인 효과는 매우 부정적입니다. 어린 시절의 상처가 어른이 되어서도 쉽게 극복이 되지 않는 이유가 이것입니다. 그로 인해 생겨난 어떤 굳건한 패턴이 한 개인을 온통 지배하기 때문입니다.

사실 내가 못나서 사랑받기 힘들다는 뿌리 깊은 느낌은 결코 사실이 될 수 없습니다. 사람은 누구나 어딘가 모자라기 때문에 사랑스럽고 서로를 필요로 하는 것 아닌가요. 마음이 건강한 사람들은 모자람이 없는 게 아니라 자신의 모자람조차 의연하게 사랑할 줄 아는 사람들입니다. 덫에 걸린 사람들은 무결점이 당연한 인감됨이라고 느끼고 있으며, 따라서 자신이 불완전하다고 느껴지는 매 순간이 사무치게 싫은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